창밖을보라 해석
창밖을 보라 창밖을 보라 흰눈이 내린다
창밖을 보라 창밖을 보라 찬겨울이 왔다
썰매를타는 어린애들은 해가는줄도 모르고
눈길위에다 썰매를깔고 즐겁게 달린다
긴긴해가 다가고 어둠이 오면
오색빛이 찬란한 거리거리의 성탄빛
추운겨울이 다가기전에 마음껏 즐기라
맑고 흰눈이 새 봄빛속에 사라지기전에
갈래:동요 성격:예언적, 반어적 재재:창밖의 겨울 주제: 창밖의 겨울에서 일어나는 일들
원래(?)시의해석
-1연: 창밖을 보라는 것으로 주위의 관심을 끌고있다. 흰눈이 내렸다는 것과 찬겨울이 왔다는 것은 계절이 변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2연: 썰매를 타는 어린이들은 해가는 줄도 모를만큼 즐겁게 달린다.
-3연: 어둠이 오면 보통 거리는 조용하다. 그러나 성탄빛이 비치는 것으로 보아 사람들은 시간에 상관없이 들떠있음을 알수있다.
-4연: 새봄빛속에 사라지기전에는 시간제한을 나타내고 있다. 이 순간을 놓치지 말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다른 근현대사적 해석: 이 시를 흥선군때 어느 개화파중 한명이 지었다는 설도 있다. 이것은 또다른 해석으로 시작할 수 있다.
먼저 1연의 창밖을 보라는 창을 닫지말고 변해가는 세상정세를 보라는 뜻으로서 흰눈이 내린다, 찬겨울이 왔다 라는 계절의 변화에 변해가는 세상을 비유하고 있다. 2연의 썰매타는 어린이들은 이미 개화를 한 일본인들이 문명을 즐기는 것에 빗댄다. 3연에서 오색빛이 찬란한 거리거리의 성탄빛은 전쟁의 포탄에서 나는 빛을 빗댄 것으로 지극히 반어적인 표현이다. 어둠이 온다는 것은 외국이 말로해서 개화가 안되니까 침입을 강행하는 시간으로서 일반 시들이 나타내는 것처럼 암담한 상황을 의미한다. 4연에서 추운겨울은 침략까지의 남은 시간을 나타내며 추운겨울이 다가기전에 마음껏 즐기라는 것은 조금이라도 남은 시간에 개화정책을 어떻게라도 하자는 의미로 반어적 표현이다. 맑고흰눈은 백의민족인 우리민족을 의미하며 새봄은 일반적 시의 의미와 달리 개화정책을 안할시 외국의 침략을 의미하는 것으로 지극히 부정적인 의미이다.
즉, 또다른 의미로 해석하면 어느 개화파가 지금당장 개항을 하자고 주장하는 내용임을 알 수 있다.
-배경설화: 근현대사적으로 해석할시 그 배경설화가 있다는 말이 있다.
신미양요후 척화비를 세우면서 외세에 대한 반감은 점점 증가되어 갔다. 개화파들은 조용히 개화를 주장했으나 나라의 분위기가 분위기인지라 주장은 잘 받아들여 지지 않았다. 그때 한 개화파 청년이 창밖으로 본 겨울풍경을 배경으로 이 시를 썼다. 그러자 다른 개화파들이 이 동요를 아이들에게 부르게 해서 개화에 대한 반감을 없애자는 제안을 했다. 그리하여 아이들에게 과일 하나씩을 주며 이 노래를 부르라고 했다. 아이들은 잘 따랐다. 어느날 임금이 행차를 하는데 아이들이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 임금은 아이들에게 누가 이노래를 가르쳤냐고 묻자 아이들은 개화파 아저씨들이 가르쳐줬다고 순순히 답했다. 그 노래의 의도를 알아챈 임금은 노래를 가르쳐주고 지은 개화파들을 잡아 당장에 처형시켰고, 노래를 금지했다. 하지만 머지않아 흥선군을 비롯한 척화파들이 물러나면서 이 동요는 다시 불리게 되어 지금까지 전해져 오고 있다.
---------------------------------------------------------------------------------------------
100%구라. 원래는 이거 외국캐롤......이랬지......? 아닌가....? 원래는 뭔지 본인도 모른다 ㅎㅎ
3번째 블로그를 만들고 계속 올리네 이거...
'망상 > 민망한공개씨(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프림팀 돋는글.(이번에는 노리고 썼을듯..) (0) | 2010.10.09 |
---|---|
본격 검정치마 돋는글 (0) | 2010.10.09 |
Se7en Eleven 새로운 생활 - 이상한 과외선생님 (0) | 2010.06.19 |
남자의자격 서열 (0) | 2010.02.16 |
지하철, 인간, 그리고 자연스럽게 휴대폰으로 기록. (0) | 2008.02.02 |